Git

[Git] git add, commit 으로 변경사항 저장하기

누구세연 2023. 10. 11. 22:34

'git status'


현재 Git 저장소의 상태를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 

  1. 변경된 파일 목록
    어떤 파일이 수정되었거나 새로 생성되었는지, 삭제되었는지 등의 정보를 나열한다.
  2. Staging Area(또는 Index)에 대한 상태
    변경된 파일 중 어떤 파일이 Staging Area에 추가되어 커밋 대기 중인지 확인할 수 있다.
  3. 현재 브랜치
    현재 작업 중인 브랜치의 이름을 표시한다.
  4. 커밋 메시지
    이전 커밋 메시지와 현재 작업 중인 커밋 메시지를 표시한다.

 

'git add'


변경된 파일을 Staging Area(또는 Index)에 추가하는 데 사용된다. Staging Area에 파일을 추가하면 해당 파일의 변경 내용이 다음 커밋에 포함된다.

git add 파일명
  • 특정 파일 추가
    특정 파일을 Staging Area에 추가하려면 해당 파일의 경로를 지정한다.
    예를 들어 'git add main.java' 명령어를 사용하여 'main.java'파일을 Staging Area에 추가할 수 있다.
git add .
  • 변경된 모든 파일 추가
    현재 디렉토리 내의 모든 변경된 파일을 Staging Area에 추가한다.

 

'git commit'


Git 저장소에 변경 사항을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데 사용된다.

이 명령어를 실행하면 변경된 파일의 스냅샷이 커밋에 저장되며, 각 커밋은 변경사항의 히스토리를 기록한다.

git commit -m "커밋 메시지"

위 명령어에서  "커밋메시지"는 해당 커밋에 대한 설명 또는 메모를 나타내며, 커밋의 목적을 간결하게 표현하는 것이 좋다.

다른 개발자들과 협업하거나 나중에 변경사항을 되돌릴 때 유용한 정보가 된다.

 

git commit

커밋 메시지를 입력하고자 할 때, 위 명령어만 입력하면 에디터가 열리고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vi 에디터 명령어

작업 명령어
입력 시작 i
입력 종료 ESC
저장 없이 종료 :q
저장 없이 강제 종료 :q!
저장하고 종료 :wq
위로 스크롤 k
아래로 스크롤 j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여러 branch 만들어보기  (0) 2023.10.13
[Git] git reset, revert 으로 되돌아가기  (0) 2023.10.11
[Git] .gitignore 사용해보기  (0) 2023.10.09
[Git] Git 최초 설정 및 관리 시작  (0) 2023.10.09
[Git] CLI vs GUI  (0) 2023.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