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11

[Git] GitHub Repository에 연결하기

로컬 저장소에 만든 레포지토리를 깃허브에서 만든 원격 저장소에 연결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 GitHub Repository 생성자신의 프로필에서 Repositories에 접근하면 New를 클릭하여 Repository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생성하고 나면 아래와 같은 주소를 확인할 수 있는데 이 주소를 로컬 저장소와 연결하기 위해 복사해 주세요 로컬 저장소에 원격 저장소 연결먼저 원격 저장소 정보가 있는지 확인합니다.git remote -v'not a git repository (or any of the parent directories): .git'저는 git을 사용하지 않던 Repository여서 위와 같은 에러 문구가 뜹니다.아래의 문구를 실행하면 오류가 해결됩니다.git init그리고 아까 ..

Git 2024.06.28

[Git] Git의 3가지 공간

Git은 세 가지 주요 영역 또는 상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Working directory, Staging area, Repository 이 세 가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Working directory 프로젝트의 실제 파일들이 저장되는 곳입니다. 이 디렉토리는 수정이 되고 있는 활성 작업 영역입니다. Untracked 파일 Git이 관리하지 않는 파일입니다. 이 파일들을 이전에 커밋되거나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되지 않았으며 단순히 작업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입니다. 이러한 파일들을 Git의 관리를 받지 않으므로 변경 사항을 커밋 포함시키기 위해서는 'git add' 명령어를 사용하여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해야 합니다. Tracked 파일 Git이 이미 알고 있는 파일로 이전 커밋에서 스테이징 영역에 있었던..

Git 2023.10.21

[Git] git 충돌 해결하기

Git 충돌을 해결하는 데에는 기본적으로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Merge를 사용한 충돌 해결두 가지 브랜치의 변경 사항을 병합하여 새로운 커밋을 만듭니다. 이때 Git은 변경 사항이 충돌할 경우 해당 부분을 마크업으로 표시합니다. 사용자는 충돌을 해결하고 다시 커밋하여 병합을 완료할 수 있습니다. Merge의 장점 - 커밋 히스토리가 보존되며, 원본 브랜치의 커밋 히스토리가 변경되지 않습니다. - 상대적으로 안전하고 이해하기 쉽습니다.Merge의 단점 - 병합 커밋이 많아질 수 있습니다. - 병합 커밋을 추적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merge로 충돌 해결 하는 예시상황 브랜치 feature/a에서 파일 test을 수정했습니다.동시에 브랜치 feature/b에서도 파일 test을 수정했습니다.이제 ..

Git 2023.10.18

[Git] branch를 합치는 방법

브랜치를 합치는 방법은 Git에서 두 가지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Merge(병합) 다른 브랜치의 변경 사항을 현재 브랜치에 통합하는 가장 간단하고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병합 커밋을 만들어 두 브랜치의 변경 사항을 하나로 합칩니다. git checkout main git merge feature 위의 명령어로 main 브랜치에 feature 브랜치를 Merge 할 수 있습니다. 장점 간단하고 안정적인 방법으로 충돌이 발생할 경우 비교적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브랜치의 히스토리가 보존되므로 나중에 병합 작업을 추적하기 쉽습니다. 단점 병합 커밋이 많은 이력을 만들 수 있으므로 히스토리가 복잡해질 수 있습니다. Merge 되돌리는 방법 merge도 하나의 커밋이기 때문에 reset이라는 명령어로 ..

Git 2023.10.15

[Git] 여러 branch 만들어보기

Branch 브랜치 Git의 브랜치는 코드의 개발을 분리하여 동시에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이다. 브랜치를 사용하면 여러 사람이 동시에 작업을 진행할 때 충돌을 방지하고 각각의 기능이나 작업을 독립적으로 개발할 수 있다. Git에서 브랜치를 만들면 현재 상태를 그대로 복제하여 새로운 브랜치가 생성된다. 이후에는 각각의 브랜치에서 독립적으로 작업할 수 있으며, 변경 사항은 각 브랜치에만 영향을 미친다. 또한 브랜치를 사용하면 안전하게 코드를 테스트하고 실험할 수 있다. 브랜치에서 개발이 완료되면 해당 브랜치를 다른 브랜치나 기본 브랜치에 병합(merge)할 수 있다. 브랜치 목록 확인 git branch 위 명령어를 실행하면 현재 저장소에 있는 모든 브랜치 목록 확인할 수 있다. 현재 작업 중인..

Git 2023.10.13

[Git] git reset, revert 으로 되돌아가기

'git reset' 현재 Staging Area(또는 Index)에 있는 모든 변경 내용을 언스테이징(Unstage)하고, 이전 커밋으로 되돌린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Staging Area에 있는 모든 변경 내용이 취소되지만, Working Directory의 파일은 영향을 받지 않고 그대로 유지된다. git reset 기본적으로 위의 명령어를 실행하면 Staging Area의 변경 내용이 언스테이징되며, 가장 최근의 커밋(HEAD)으로 돌아간다. 만약 변경 내용을 Working Directory에서도 제거하고 이전 커밋으로 돌아가려면 '--hard' 옵션을 사용할 수 있다. git reset --hard 주의 : '--hard' 옵션을 사용하면 Working Directory의 변경 내용도 모두 ..

Git 2023.10.11

[Git] git add, commit 으로 변경사항 저장하기

'git status' 현재 Git 저장소의 상태를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 변경된 파일 목록 어떤 파일이 수정되었거나 새로 생성되었는지, 삭제되었는지 등의 정보를 나열한다. Staging Area(또는 Index)에 대한 상태 변경된 파일 중 어떤 파일이 Staging Area에 추가되어 커밋 대기 중인지 확인할 수 있다. 현재 브랜치 현재 작업 중인 브랜치의 이름을 표시한다. 커밋 메시지 이전 커밋 메시지와 현재 작업 중인 커밋 메시지를 표시한다. 'git add' 변경된 파일을 Staging Area(또는 Index)에 추가하는 데 사용된다. Staging Area에 파일을 추가하면 해당 파일의 변경 내용이 다음 커밋에 포함된다. git add 파일명 특정 파일 추가 특정 파일을 Staging Are..

Git 2023.10.11

[Git] .gitignore 사용해보기

Git 관리에서 특정 파일/폴더를 배제해야 할 경우 포함할 필요가 없을 때 자동으로 생성 또는 다운로드되는 파일들 (빌드 결과물, 라이브러리) 포함하지 말아야 할 때 보안상 민감한 정볼르 담은 파일 '.gitignore' 파일을 사용해서 배제할 요소들을 지정할 수 있다. '.gitignore' 이란? '.gitignore' 파일은 Git 저장소에서 버전 관리되지 않아야 하는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지정하는 설정 파일이다. 이 파일을 사용하여 Git에게 어떤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추적하지 않아야 하는지 알려준다. 개발 환경 설정 파일 로컬 개발 환경에서 사용하는 설정 파일을 Git 저장소에 업로드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팀원 간에 개발 환경 설정을 공유할 때 개인적인 설정을 무시하고 저장소에 ..

Git 2023.10.09

[Git] Git 최초 설정 및 관리 시작

Git 최초 설정 Git 전역으로 사용자 이름과 이메일 주소를 설정할 수 있다. git config --global user.name "본인 이름" git config --global user.email "본인 이메일" 아래의 명령어들로 확인이 가능하다. git config --global user.name git config --global user.email git config --global init.defaultBranch main 새로운 Git 저장소를 초기화할 때 기본 브랜치 이름을 "main"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기본적으로는 "master"라는 이름의 브랜치가 생성했다. 그러나 "master"라는 용어가 다양한 콘텍스트에서 사용되는 것과 관련하여 인종 차별과 관련된 문제로 인해 Git 커뮤..

Git 2023.10.09

[Git] CLI vs GUI

Git을 사용하는 방법 터미널 명령어를 이용하는 CLI 방식 소스트리 등의 프로그램 등을 사용하는 GUI 방식 CLI 이란? "Command Line Interface"의 약어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운영 체제와 상호 작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텍스트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리킨다. CLI는 키보드로 명령어를 입력하고 컴퓨터에 명령을 내리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텍스트 명령어 입력 사용자는 명령어를 텍스트로 입력하여 컴퓨터에 지시한다. 명령어는 주로 커맨드 프롬프트 또는 터미널 창에서 입력된다. 스크립트 및 자동화 CLI를 사용하면 명령어를 스크립트로 작성하고 실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반복적인 작업 자동화와 배치 처리가 가능하다. 높은 유연성 CLI를 통해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명령어와 ..

Git 2023.10.09